Go to contents


학회소개


회원 로그인


학회소개

HOME > 학회소개 > 학회소개

사단법인 한국현미경학회 창립 30주년 약사

참고 사항
창립 총회 1967년 5월 6일 성균관대학교 이과대학
제1회 학술 연구 발표회 1967년 11월 20일 성균관대학교 이과대학
초대 회장 이배함 박사 (건국대학교 생물학과)
학회지 1권 1호 발간 1969년 9월

학문적으로 이질적인 전공을 하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창립한 한국현미경학회가 30살의 장년으로 성장하였습니다. 그 간 역대 임원진과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사단법인체로 정립되었고, 나아가 사단법인 한국현미경학회로 확대 발전시 키자는 회원님들의 의견도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 간의 발전 과정 중에서 여러 가지 난제와 애로, 후원과 감회 등을 학회 설립과 초창기 운영 과정을 원로 역대 회장님들을 모시고 좌담회를 하였던 내용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이 내용이 차후 후진 학자들에게 사단법인 한국현미경학회의 발전과 이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창립 30주년 원로회장단 초청 좌담회
일   시 : 1997년 8월 21일 (목) 11시
장   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회의실
참석자 : 안영필, 이재두, 이유복, 김우갑, 김명국, 최주
배석자 소인영, 엄창섭, 김수진

전자현미경의 약사 고찰

전자현미경 연구의 역사를 보면 독일의 Berlin 공과대학 E. Ruska와 M. Knoll 교수 등에 의한 진공 상태에서의 oscilograph 연구 진행중 1931∼1932에 금속상과 섬유에 대한 결상에 성공하게 되고, 이어서 1937년 Muller는 격자 구조 250Å의 분해능에 성공하므로 Siemens 사에서 전자현미경의 제작에 착수한지 1년 후인 1939년에 최초의 상용 2단 렌스계의 소형 super electron microscope이 출현되었으며, 이에 자극 받은 각국에서는 전자현미경 연구에 열을 띠기 시작하였다.

미국에서는 1939년에 Hiller를 중심한 연구진과 RCA 사가 합작하여 1940년에 고주파형의 전자현미경에 성공하였고, 2차대전 중에도 계속적인 연구로 RCA 전자현미경의 확립에 이른 것이다. 한편 일본에서도 1939년에 전자현미경 특별 위원회를 일본학술진흥회에 구성하고, 미국과 독일로부터 정보를 입수하여 1941년 동경대학, 경도대학, 대판대학 등에 전자시험소를 설치, 운영하였다. 1942년에 Hitachi 와 Shimazu 등 회사에서 전자현미경 제작에 착수하여 2단 렌스계 자석형 전자현미경의 제작에 성공하였으나 2차대전의 악화로 1947년까지 침체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은 1938년 Von Ardenne의 연구를 시점으로 1953년 Cambrige 대학의 McMullan 및 Oatty 교수 등의 연구 성공으로 1960년 이후부터 완전한 별개 분야처럼 발전하게 되었다. 2차대전의 종식과 더불어 전자현미경의 개발과 응용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shadowing법, replica법, ultramicrotome의 개발, electron diffraction pattern의 성공을 보게 되었다. 한편 3단계 전자 렌스 (중간 렌스 삽입)의 성공으로 전자광학적 배율은 100∼100,000배까지 가변시켰고, 고전압형의 전자현미경을 각국에서 연구용으로 설치 운영하게 되었다.

학회 설립의 배경

전자현미경 응용 분야의 급진적인 확대와 더불어 각국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자들이 학술적 토의의 광장을 마련코자 학회를 조직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은 1940년에 정식으로 학회가 발족되었고, 일본은 940년에 전자현미경위원회가 학술진흥국에 설치되었던 것이 1949년에 정식으로 전자현미경학회로 발전하였다. 제1회 국제 전자현미경학회가 1950년에 Paris에서 개최되었고, 4년마다 개최키로 합의하여 1954년에 London, 1958 - Berlin, 1962 - Philadelphia, 1966년에 일본의 경도에서 개최되었다.

전자현미경의 보급은 1950년대부터 급속히 전파되어 1960년에는 이미 미국에 1,000여대, 구라파에 500여대, 일본에 450여대가 설치 가동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국현미경학회 설립의 동기

우리나라의 과학사가 6·25전쟁 이후 1950년대 중반 비교적 국내 사정이 안정 상태로 되면서부터 학술 연구가 시작된 것과 같이 전자현미경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안영필 교수가 일본 경도대학에서 전자현미경을 응용한 학술 연구를 마치고 경북대학으로 부임한 후 일본에서 기증받은 2단 렌스계 소형 전자현미경 (Hitachi HM-3)을 1956년에 설치하고 연구를 시작한 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현미경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계기가 되었다. 그 당시 경북대학교 생물학과의 이국진 교수와 안영필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를 많이 하였고, 주로 규조토의 구조와 형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그 무렵 육군기술연구소(현 국방과학연구소)에 Shimazu제 2단 렌스계 소형 (SM-C2)이 도입 설치되었으나 기술적 미숙련으로 활용이 부진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 Shimazu제 전자현미경의 사용 경험자가 없어서 기술적 지원을 받을 여건이 못되었다. 1961년 성균관대학 생물학과 (당시 성균관대학교 부설 원자과학연구소)에 3단 렌스계인 Hitachi제 전자현미경 중형 (HS-6)이 내자로서 ($18,000) 구입 가동되어 생물과 의학 분야에 많은 연구의 활성화가 되었다.

당시의 전자현미경 검경 기록을 보면 무기재료 분야에서는 규조토, 고령토의 입자 구조, 금속의 Replica 표면 관찰 (Replica 필름 사용) 등이 많았고, 생물 분야는 세포 구조, 의학 분야에서는 조직 관찰이 대부분이었다. 당시에 바이러스 입자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TMV)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것이 한국일보 과학란에 특별 기사화 (전자현미경과 바이러스)가 됨으로써 전자현미경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을 갖게 된 동기도 되었던 것 같다.

당시의 전자현미경 검경 기록을 보면 무기재료 분야에서는 규조토, 고령토의 입자 구조, 금속의 Replica 표면 관찰 (Replica 필름 사용) 등이 많았고, 생물 분야는 세포 구조, 의학 분야에서는 조직 관찰이 대부분이었다. 당시에 바이러스 입자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TMV)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것이 한국일보 과학란에 특별 기사화 (전자현미경과 바이러스)가 됨으로써 전자현미경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을 갖게 된 동기도 되었던 것 같다.

한편 이무렵 생물학 분야에서는 전자현미경적 미세 구조에 관한 관심이 많았고, 1964년 춘계 학술대회 시에 일본전자현미경학회 고문인 安藤權八郞 교수(나량의과대학)를 초청 (실질적으로는 우리나라 전자현미경 시장 조사)하여 특별 강연을 하였다.

1965년에는 한국 미생물학회 특별 강연에서 "미생물의 형태" 주제 하에서 1. 전자현미경의 기능과 응용 (안영필), 2. 전자현미경의 technique (성환순), 3. virus의 구조 (소인영) 등등 발표를 통하여 전자현미경에 대한 학술적 연구열이 고조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정을 기반으로 하여 당시 전자현미경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졌던 이배함, 안영필, 정일천, 최금덕, 이재두, 이명복, 백경기 교수 등이 모임을 갖고 한국현미경학회의 설립에 대한 필요성에 합의하여 1967년 5월 6일에 창립 총회를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최하였다.

창립 총회에서는 회장단 (회장 이배함, 부회장 안영필, 이재두)과 평의원을 구성하고, 회칙을 통과시켰다. 특별 강연으로 "세포의 전자현미경적 미세 구조"에 관하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최금덕 교수가 발표하고, 성황리에 행사를 마치었다. 6개월 후인 1967년 11월 20일에 제1회 학술 연구 발표회에서는 생물 분야 3제, 무기재료 분야 2제 총 5편의 구연 발표를 하였다. 특별 강연으로서는 1. 최근 전자현미경 연구 및 그 응용의 국제적 동향을 東昇 박사 (국제 전자현미경학회 연합 총재, 경도대학 의과대학 교수)를 초청하였고, 2. 최근 전자현미경의 생물학적 기술 방법 (연세대학교 백경기 교수), 3. 전자현미경의 이공학적 기술 및 그 응용에 관하여 (건국대학교 안영필 교수) 등의 강연을 성황리에 마침으로 대망의 학회 설립 기념 행사를 마치었다.

초창기의 학회 운영

제2회 정기 총회 및 학술 발표회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1968년 12월 21일에 개최되었고, 10편의 구연 발표와 특별 강연을 성황리에 끝냈다. 이날 평의원 회의에서는 학회지 발간과 전자현미경에 대한 국내외 기술 훈련을 사업 계획으로 결의하였다. 이어서 1969년 4월 과학의 날 행사 (4월 22∼23일)에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일본 전자현미경학회장 (당시 일본전자주식회사 사장 風戶建二)을 초청하여 특별 강연을 하였고, 투과형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비롯하여 12개 최신 첨단기기 등에 대한 응용 내용의 기기 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무렵 국내에서는 대형 3단 렌스계 전자현미경의 도입이 시작되어 1968년에 대일 청구권 자금으로 고려대학교 생물학과에 Hitachi제 HS-7S 등 몇몇 대학에 설치되었고, 이어서 한국과학기술연구소 (KIST)에도 당시 최형섭 과학기술처 장관을 중심으로 한 일본 早稻田대학 동창들이 모금하여 Hitachi제 전자현미경 (HU-11-C)을 구입하여 기증하게 되었다. 또한 한양대학교에서도 미국 RCA제 전자현미경 (RCA-EM-11-4 형)을 설치하였고, 농학 분야에서는 농촌진흥청과 가축위생연구소에 전자현미경이 설치 운영되었다.

따라서 각 분야에서 전자현미경의 필요성이 인식되매 1970년까지 20여대의 전자현미경이 각 연구기관에 설치되어 생물 및 재료 분야에서 전자현미경의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학회의 운영에 있어서는 회원 수의 약세로 (초창기 67명) 학회의 운영난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회장단들의 활동으로 기술 훈련은 일본에서 지원받기로 하고, 학회 운영 자금은 전자현미경 대리점인 건우사 ( Hitachi 대리점), 동일과학 (Shimazu 대리점), 신한과학 (Akashi 대리점) 등에 협조를 요청하였으나 각 대리점들의 협조가 부진하였고, 기술 훈련 자금도 해결되지 않아서 학회 운영과 발전에 어려움이 많았다.

>표 1. 초기의 우리나라 전자현미경 도입 상황
  년도 모 델 제조회사
1 1956 SM-2C2 Shimazu
2 1958 HS-3 Hitachi
3 1961 HS-6 "
4 1966 TRS-50 Akashi
5 1968 HU-11-E Hitachi
6 1969 HU-11-C "
7 " HU-11-C "
8 " JEM-T7 JEOL
9 " JEM-50B "
10 " " "
11 " " "
12 " HS-7 Hitachi
13 " " "
14 " HS-8 "
15 " HU-11-E "
16 " RCA-EM-11-4 RCA
17 1970 HU-11-E Hitachi
18 " JEM-120 JEOL
분야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연구 건수
  생물 및 의학 물리화학 응용공학
1960 2 3 0 5
1961 3 4 0 7
1962 2 5 1 8
1963 6 5 3 14
1964 8 12 6 26
1965 5 18 14 37
1966 6 32 6 44
1967 17 24 7 48
1968 16 53 7 76
1969 25 45 54 124
1970 40 66 48 154
130 267 146 543
* 이 수치는 각 기관의 전자현미경실 사용 일지를 참고로 한 것임.

학회지 발간과 초창기 회장단의 활동

학회지는 그 학회를 대표하는 표상이다. 한국현미경학회지의 발간 내용을 살펴보면 1969년도에 창간호를 발행하였고 연 1권으로 지속되다가 1979년에는 연 2호 (Vol. 9-No. 1,2)로 발전하였고, 1993년에는 연 3호 (Vol. 23-No. 1,2,3)로 증간되고, 1994년부터는 연 4호 (Vol. 24-No. 1,2,3,4) 발행하게 됨으로써 학회의 면모를 세우게 되었다. 창간호에는 6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당시에는 원고가 없어서 학회에서 발표하였던 연자에게 부탁하여 논문을 수집하였고, 원고 도착이 늦어져서 학회 일자에 맞추어 발간하려고 인쇄소 직원에게 야식까지 사주면서 야근을 부탁하기도 하였다. 또한 편집 관계에 있어서도 당시에는 지질이 좋지 못하여 모조지를 사용하였으나 전자현미경 학회지는 사진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사진면 만은 아트지 4도판 인쇄를 하기로 결의함으로써 아트 인쇄를 할 수 있는 곳을 찾기 위하여 을지로 3가 인쇄소 밀집 지역을 직접 찾아다니기도 하였다.

표지의 제자도 각 학회에서 묵서필로 하는 것이 유행이었으나 전자현미경학회는 자금의 부족으로 저명 인사의 친필을 받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당시 성균관대학교 교무과장이었던 이중기 과장에게 부탁하여 한글로 "한국현미경학회지"로 제자한 것이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기씨에게 이 기회를 빌어서 재삼 감사를 드립니다.

학회운영에 가장 어려웠던 기간은 70년대부터 80년대 초까지였다. 이 시기에는 학회지의 원고도 부족하였고, 운영 자금도 없어서 회장단들이 직접 전자현미경 대리점 (건우사, 동일과학, 신한과학) 들을 방문하여 학회 운영 및 발전에 협조를 요청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회지 원고가 부족하여 전자현미경을 설치 운영하는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등에 투고를 부탁하고, 학술 대회 시는 연제 발표를 요청하기도 하였다.

학회장 선출 문제에 있어서도 초기에는 회장단은 생물 분야, 의학 분야, 무기 재료 분야 등 3개 분과가 교대로 하자고 합의하여 실시가 되었으며 따라서 평의원회도 3개 분과에서 같은 비율로 구성되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합의 사항이 1970년대에 들어와서 이행되지 못하였다.

가장 큰 이유로는 학회의 운영난에 봉착하자 학술 발표 연제도 적고 하여 생물 분야와 무기재료 분야를 분리하지 않고 합동으로 발표회를 갖게 됨으로써 재료 분야 학자들이 생물 분야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였고, 특히 금속학회 등 자기들의 주 학회에서 활동하고, 원고도 주 학회에 투고하였기 때문에 전자현미경학회 참석율이 저조하였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학회 운영의 참여도가 낮아지게 되어 회장단 구성이 한때 생물, 의학 분야 만이 교대로 회장을 선출한 시기도 수년간 지속되었다.

학회의 안정과 80년대의 발전기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회장단들의 적극적인 활동과 노력으로 학회 운영이 안정 상태로 접어들기 시작하였다. 학회 재정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었던 것은 학술진흥재단 (당시 문교부 과학진흥과)에서 인쇄비 보조로 100만원, 과학기술총연합회에서 200만원을 지원받게 된 것이 학회운영의 활력소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각 대리점들이 특별회원비 (광고비)의 찬조금을 비과세용 영수증 (사단법인疜)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부득이 특정 법인체에 소속된 연구소 구좌에 입금 영수증으로 대신하고 이 연구소에서 전자현미경학회에 보조하는 절차를 밟아 학회지 발간비 및 운영비로 충당하던 어려운 시기도 있었다.

1980년대의 학회 사업으로 특기 사항을 보면 학회지 9권부터 연2회가 발간되었다 (10권 1,2호 합본). 학회지 증간으로 학술진흥재단 및 과학기술총연합회로부터 지원받는 보조 금액도 배로 증액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전자현미경의 설치 운영 기관이 급진적으로 늘어나면서 전자현미경의 취급에 대한 기술 훈련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전자현미경을 설치한 각 기관의 실무자들이 정보 교환의 장으로 회합을 갖고 전자현미경 실무자 동우회를 구성하고, 초대 임원진으로 회장 김수성, 부회장 이인식, 총무 황경희 씨 등을 선출하고, 회칙을 학회지에 발표하였다 (1983년 1월 17일). 동우회가 발전하여 한국 전자현미경 실무자회로 개칭되고 회칙도 개정하였다 (1986년 11월 18일). 이 실무자회가 주축이 되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초보자를 위한 전자현미경 워-크샵을 태동시켜 주도하게 되었으며 현재 더욱 발전하여 기술 강습회와 세미나를 개최하며, 실무자 회보 5호를 발간하고 있다.

학술적으로도 한국현미경학회가 외국에 알려지면서 80년대초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자현미경학회와 국제 전자현미경학회에 가입을 하게 되었고, 제11차 국제 전자현미경학회 (일본, 경도, 1986년 8월 31일∼9월 7일)에는 12명의 회원이 참석하여 논문 발표를 하였다. 1985년에는 한국전자현미경회보가 창간되어 (김명국 회장) 4호까지 지속되었으나 예산관계로 부득이 중단된 것은 아쉬움을 남긴다. 이때 한국 I.S.I. 주최 "SEM 활용을 위한 하계 세미나"를 I.S.I. 마산 공장 현지에서 견학한 것은 인상깊은 일이었다.

80년대 후반으로 들어서면서 학회의 심볼 마크를 제정하자는 의견이 있어서 1987년에 회원들에게 공모하였으나 좋은 내용이 없었다. 그래서 정진웅 평의원의 추천으로 서울교육대학 미술과 조용진 교수에게 의뢰하여 현재 사용하는 학회 마-크를 제정하게 되었다 (함의근 회장, 18권 1호에 마-크 도안 설명). 당시의 평의원들에게는 뱃-지를 증정한 바 있다.

우리나라 산업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재료 분야의 각 연구소 및 산업체 현장에 전자현미경의 도입 설치가 급증하게 됨으로써 재료 분야의 재활성이 되었다. 또한 1996년 10월에 사단법인 한국현미경학회로 등록을 마치었다. 앞으로 전자현미경을 취급하는 분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기술사 자격증 제도를 검토하고 있는 중이다.

  편 집 :소인영, 엄창섭
  감 수 :김명국, 김우갑, 소진탁, 안영필
     
  사단법인 한국현미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행사 준비 위원회
     
  위원장 :소인영
  간 사 :엄창섭
  위 원 :금동화, 김명국, 김우갑, 신영철, 이후철

TOP


Korean Society of Microscopy
(사)한국현미경학회 (고유번호 : 209-82-06363, 대표자 : 신훈규)
주소 : 02794,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로 14길 24 월곡래미안 루나밸리 상가 303호     대표전화 : 02-919-8775    
전자우편 : office@microscopy.or.kr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Microscopy (KSM).